PostgreSQL 설치
안녕하세요, kentakang 입니다.
오늘은 프로젝트에서 DB를 활용하기 위해서, DBMS 중 하나인 PostgreSQL을 설치해보려고 합니다.
보통 개인 단위에서 많이 사용하는 DBMS는 MariaDB (MySQL) 인데, 저는 PostgreSQL을 좋아해서 PostgreSQL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서버 환경
CentOS 7.4, Linux 커널 버전 4.16.6 환경입니다.
설치할 PostgreSQL의 버전은 10 버전입니다.
설치하기
PostgreSQL 공식 사이트에서도 yum을 통한 설치 방법을 소개하고 있어, 저도 해당 방법을 통해 설치를 진행하겠습니다.
우선 PostgreSQL 저장소를 설치해주세요.
sudo yum install https://download.postgresql.org/pub/repos/yum/10/redhat/rhel-7-x86_64/pgdg-centos10-10-2.noarch.rpm
제가 위에 적어드린 명령어는 CentOS 7 버전 기준입니다.
혹시 다른 배포판이나 다른 버전을 사용하신다면 https://www.postgresql.org/download/ 에 접속하셔서 버전에 맞는 방법을 확인해주세요.
저장소를 추가하셨다면 postgresql10 패키지를 설치해주세요.
sudo yum install postgresql10
그 다음 postgresql10-server 패키지를 설치해주세요.
sudo yum install postgresql10-server
그 다음 PostgreSQL 초기화 작업과 서비스 등록을 해주세요.
/usr/pgsql-10/bin/postgresql-10-setup initdb
systemctl enable postgresql-10
systemctl start postgresql-10
설정하기
PostgreSQL의 설치가 끝났습니다.
하지만 제대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설정 작업을 해줘야겠죠?
우선 psql과 같은 명령어를 사용하기 위해 환경변수를 등록해주겠습니다.
/etc/profile을 vi로 열어 아래와 같이 수정해주세요.
PATH=(기존에 있던 내용):/usr/pgsql-10/bin
그 다음 아래와 같이 명령어를 입력해 환경변수를 적용해주세요.
source /etc/profile
PostgreSQL 관리를 위해서 콘솔에 접속하실 때는, su 명령어를 통해 계정을 postgres로 변경하신 뒤, psql을 실행하시면 됩니다.
일단 관리를 위해 해당 계정의 비밀번호를 변경한 후, 접속해보도록 하겠습니다.
sudo passwd postgres
su - postgres
postgres 계정에서 psql 명령어를 입력하면, 기본으로 생성 된 postgres DB에 접속이 가능합니다.
이렇게 설치를 모두 마쳤습니다.